※ 강의를 듣고 제가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정리한 것이라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Truthy
true와 거의 비슷한 값이라 true로 취급
/*Truthy: True와 거의 비슷한 값, falsy한 값을 제외한 모든 값 그래서 !로 반전 시켰을때 false가 나온다. */ // 예 console.log(!1); // 숫자 1 console.log(!'hello'); // 문자열 console.log(!['array']); // 배열 console.log(![]); // 빈 배열 console.log(!{}); // 빈 객체
실행 결과
true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로 반전 시켜서 false로 출력 됨

2. Falsy
false와 거의 비슷한 값이라서 false로 취급
// falsy: false와 거의 비슷한 값 console.log(!undefined); // false와 비슷한 값이기에 !로 반전 시켜줬을때 True가 된다. console.log(!null); console.log(!0); console.log(!''); console.log(!NaN);// NaN(Not a number): 숫자에다가 문자열을 연산 시켰을때 나옴
실행 결과
false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로 반전 시켜서 true로 출력 됨

'개발 공부한 내용 정리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함수의 기본 파라미터 (0) | 2020.08.14 |
---|---|
JavaScript- 단축 평가 논리 계산법 (0) | 2020.08.13 |
JavaScript- 삼항 연산자 (0) | 2020.08.11 |
JavaScript - 프로토타입과 클래스 (0) | 2020.08.10 |
JavaScript- 배열 내장함수 (0) | 2020.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