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코딩에서 GIT을 이용해 CLI 방식으로 버전을 생성하는 방법을 배웠다.

 

GIT에서 버전을 생성하는 흐름은 3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설명을 하기 전에 알아야 할 개념이 있는데 그것은 아래와 같다.

 

1. working tree: 파일을 수정한 곳 또는 수정한 파일들

2. staging area: 버전으로 만들려고 하는 파일들

3. repository: 만들어진 버전 또는 버전이 저장된 저장소

 

이제 개념을 알았으니 아래에 버전을 생성하는 과정을 캡처와 함께 설명하려고 한다.

 

캡처와 같이 nano 에디터로 hello1.txt 파일을 만들고 안에 내용에 1을 쓰고 저장하였다.

 

그러고 나서 위와 같이 git status 명령어로 상태를 보면 아직 커밋이 안됬다고 나오고 추적이 안된 파일

이라고 하면서 hello1.txt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아직 staging area로 추가를 시키지 않은 상태이고 파일이 working tree에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working tree에 있는 파일을 staging area로 추가시키려면 'git add 파일명' 이렇게 명령을 내려주면 된다.

그러면 위와 같이 새로운 파일이 커밋됐다는 글이 나온다.

 

그러고 나서 이제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을 repository로 저장해서 버전을 생성하려면 git  commit -m

"버전명" 이렇게 명령을 해주면 된다.

그리고 git log라는 명령어를 써주면 버전의 로그를 볼 수 있다.

 

위 캡처는 hello1.txt를 repository로 저장해서 버전을 생성시킨 후 상태 명령어를 써보니 아무것도 커밋하고 있지 않고 working 트리가 깨끗하다는 메시지가 나오는 캡처이고

로그 명령어를 써보니 message 1 버전 작성자의 이름과 메일 그리고 버전이 생성된 날짜와 시간이 나오는 걸 알 수 있다.

 

이제 하나의 파일을 버전으로 생성하는 방법은 알았으니 다음으로는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버전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써 보려고 한다.

 

우선 hello1.txt를 수정하고 hello2.txt 파일을 새로 생성하였다.

hello1.txt는 기존에 버전 생성되어 관리되고 있는 파일인데 이것을 또 staging area에 넣을 수도 있다.

 

 

차례대로 staging area로 추가시켜주니 2개의 파일이 추가되었다.

 

 

그러고 나서 새로운 버전을 생성해주니 2개의 파일이 하나의 버전에 속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log 명령어 뒤에 --stat을 써주면 버전 로그에 더 상세하게 hello1.txt와 hello2.txt에 한 줄씩 추가되었다고 나오고 그 밑에 2개에 파일이 추가 되었고 2줄이 추가 되었다고 상세하게 나온다.

 

 

 

* 느낀 점

오늘 이 수업으로 버전 생성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할 수 있었고 git이라는 것에 대해 좀 더 알아 간 거 같아서 뿌듯했다.

그리고 어서 진도를 나가서 github사용법도 익혀서 내가 공부하면서 실습한 것들이나 앞으로 실력을 늘린 뒤

개인 프로젝트를 올리는 내가 되고 싶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