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의를 듣고 제가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정리한 것이라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배열
배열은 여러 개의 항목들이 들어있는 리스트라고 할 수 있다.
배열을 선언할 때는 [ ] 로 감싸주면 된다.
const array = [1, 'blabla', {name: '멍멍이'}, 4]; // 배열 선언 console.log(array); // 배열 출력 console.log(array[2]); // 배열의 3번째 항목 출력
위와 같이 배열 안에는 다양한 자료형의 값을 넣을 수 있다.
배열의 특정 n번째 항목을 조회하고 싶다면 배열이름[n] 이렇게 조회하면 된다.
배열의 순서는 0부터 시작이다.
실행 결과

2. 배열에 새 항목 추가하기
const array =[ {name: '멍멍이'}, {name: '야옹이'} ]; // push는 배열 안에 새로운 항목을 추가 할때 사용한다. array.push({ name: '멍뭉이' }); console.log(array);
배열에 새 항목을 추가하려면 배열이 가지고 있는 내장 함수인 push를 위 코드와 같이 사용하면 된다.
위 코드에서는 새로운 항목으로 객체를 추가하였다.
실행 결과

3. 배열 크기 알아내기
const array =[ {name: '멍멍이'}, {name: '야옹이'}, {name: '멍뭉이'} ]; // 배열의 크기 출력 console.log(array.length);
배열의 크기를 알아낼 때는 위 코드와 같이 length를 사용하면 된다.
실행 결과

'개발 공부한 내용 정리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배열 내장함수 (0) | 2020.08.08 |
---|---|
JavaScript- 반복문 (0) | 2020.08.07 |
JavaScript- 객체 (0) | 2020.08.05 |
JavaScript-함수 (0) | 2020.08.04 |
JavaScript- 조건문 (0) | 2020.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