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의를 듣고 제가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정리한 것이라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콘솔창에 출력하기

console.log("hello, world!"); // 콘솔창에 hello, world! 출력

console.log는  콘솔창에 특정한 내용을 출력하는 문법이다.

실행 결과

콘솔창에 hello, world!가 출력되는 것을 볼수있다.

 

 

 

2. 변수와 상수

변수와 상수는 특정 이름에 특정 값을 담을 때 사용한다.

 

 

1) 변수

let value = 1; // 변수 선언

console.log(value); // 변수 출력

변수는 let이라는 키워드를 쓰고 변수명을 정해주고 그 안에 들어갈 값을 넣어주므로써 선언 된다.

 

실행 결과

변수 value에 선언된 값 1이 출력 되는것을 볼수 있다.

 

 

let value = 1;
console.log(value);
value = 2; // 변수는 한번 선언한 값을 바꿀 수 있다.
console.log(value);

변수는 한번 선언한 값을 바꿀 수 있다.

단 주의 할 점은 한번 선언한 변수와 똑같은 변수명으로 선언하지 못한다.

ex) let value = 1;

    let value = 2;

 

실행 결과

 

 

2) 상수

const con = 1;

console.log(con);

상수는 const라는 키워드를 쓰고 상수명을 정해주고 그 안에 들어갈 값을 넣어주면 된다.

 

실행 결과

상수 con에 선언된 값이 출력 되는 것을 볼수있다.

 

 

const con = 1;
con = 2; // 상수는 한번 선언된 값을 바꿀 수 없다.

console.log(con);

상수는 변수와는 달리 한번 선언된 값을 바꿀 수 없다.

상수도 한번 선언된 상수명과 똑같은 상수명으로 선언 하지 못한다.

ex) const con = 1;

     const con = 2;

 

실행 결과

실행 결과, 상수는 값을 바꿀 수 없기에 에러로 상수에 할당 되어 있다고 나오면서 실행이 안된다.

'개발 공부한 내용 정리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배열  (0) 2020.08.06
JavaScript- 객체  (0) 2020.08.05
JavaScript-함수  (0) 2020.08.04
JavaScript- 조건문  (0) 2020.08.03
JavaScript- 연산자  (0) 2020.08.02

+ Recent posts